2024 한국정보올림피아드 고등부 2차 대회
2024년 7월 14일에 진행한 한국정보올림피아드 고등부 2차대회 일지입니다. 작년에 “잘 본 것 같기는 한데 뭔가 아쉬운 느낌은 항상 드는 것 같습니다” 라고 썼는데, 올해는 그냥 못 본 것 같습니다. 마음이 아프네요.
대회 결과는 1, 2, 3번에서 100점, 4점에서 4점을 받아 304점입니다.
대회 시작 전
- 솔브드 디코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경곽 응시자가 66명이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 40기 디코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1번 난이도를 예상했고 저는 골드 2를 찍었습니다.
- 고등부 1고사실이었고 1번째로 신분증 검사를 받았습니다. (끝나고 1등으로 퇴실하겠다는 것을 직감했습니다.)
0:00~0:17 - 0점>100점
- 고1번 가로등 문제를 잡았습니다.
- 바로 imos 기반의 만점 풀이가 떠올랐습니다. 구현했고 두어 번 틀린 뒤 맞았습니다. (0:17:32)
0:17~0:30 - 100점
- 고2번 XOR 최대 문제를 잡았습니다.
- 발상: 두 문자열 중 하나는 전체 문자열입니다. 이 문자열에서 처음으로 0이 되는 비트가 있을 텐데, 그 비트가 1이 되도록 수를 잘 골라주면 됩니다.
0:30~0:31 - 100점
- 고3번 트리 뽑아내기 문제를 읽었습니다.
- 고2번이 너무 풀릴 것 같아서 다시 잡았습니다.
0:31~1:10 - 100점
- 고2번 XOR 최대 문제로 돌아왔습니다.
- 0:45. Claim: 전체 문자열에서 처음 나오는 1 뒤의 문자열을 복사해서, 0은 1로, 1은 0으로 만듭니다. 이 문자열이 ‘목표 문자열’입니다. 이 문자열과 최대한 길게 같은 문자열을 뽑고자 합니다.
- 0:50. 발상: 이때, 목표 문자열만큼 1이 상위 비트에 있는 문자열은 초반의 문자열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전체 문자열을 오른쪽으로 몇 번 shift해서 원래 문자열과 XOR하면 됩니다.
- 구현했고 틀렸습니다. (1:10:44)
1:10~1:43 - 100점
- 여기에 KMP와 비슷한 무언가를 추가했습니다. 원리는 지금의 저도 정확하게 알지 못합니다만, 60% 정도의 확신을 가지고 구현했습니다.
- 1:15) 관찰: 생각해보니 두 문자열의 가장 오른쪽 비트가 일치한 상태로 xor해야 합니다. 앞에서부터 매칭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즉 뒤에서부터 매칭합니다.
- 구현했고 틀렸습니다.
- 생각해보니, 뒤에서부터 매칭하면 상위 비트를 우선적으로 비교할 수 없습니다. 무언가 잘못되었습니다.
- 1:34) 처음 발상으로 돌아가서, 결국 최초로 나오는 1을 찾고 그 다음 최초로 0이 나올 때까지 shift해서 둘을 xor하면 되는 것 같습니다.
- 3번 혹은 4번 테케에서 틀렸습니다.
1:43~2:15 - 100점>106점>200점
- 고3번 트리 뽑아내기 문제로 돌아왔습니다.
- 1:50) 관찰: 루트는 다음에 빼는 것이 결정되어 있으므로, 루트의 자식을 뭔가 pq 같은 것으로 관리한다고 칩시다. 그중 가장 작은 것을 고르면, 그 정점이 새로운 루트가 되는 동시에 그 자식이 모두 pq에 들어옵니다. 즉 자식의 집합을 merge하는 것과 같습니다. small to large를 매우 정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16분간 구현했고 틀렸습니다.
- 8분 간 고쳤고 6점을 받았습니다. (2:14:45)
- 배열의 크기를 키웠고 100점을 받았습니다. (2:15:11)
2:15~2:50 - 200점>300점
- 1:34 발상의 반례를 찾고자 했습니다.
- 2:20) 관찰: 생각해보니, 최초로 나오는 1 뒤로 1이 많이 연속해 있다면 반례가 됩니다. 예를 들어, ‘111101010’은 ‘111111111’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2:25) 발상: 지금이야말로 1:15 관찰의 방법을 가져다 쓰면 돨 것 같습니다.
- 예제에서 막혔습니다.
- 2:30) 발상: 그냥, 최초로 나오는 1 뒤로 연속한 1의 개수와 그 다음에 나오는 0부터 시작해 연속한 0의 개수를 세고 둘 중 더 작은 것만큼 겹차도록 shift해주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 틀렸습니다. (2:39:25)
- 생각해보니 한 번 쓰기 시작했으면 끝까지 다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은 1:15 관찰에서 나왔습니다. 왜 그런 생각을 했을까요?)
- 11분간 수정했고 100점을 받았습니다. (2:50:03)
2:50~3:00 - 300점
- 고4번 점수 경주 문제를 잡았습니다.
- 아마 풀테를 잡을 수 없을 것이라 생각했고, 10분만 생각해본 뒤에 섭테를 긁기로 했습니다.
- 섭테를 긁기로 했습니다.
3:00~3:38 - 300점>301점>302점
- 섭테는 1, 2, 4번이 풀만하다고 판단했고, 여기에 시간이 된다면 3번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고 보았습니다.
- 1번 섭테를 잡았고 약 15분간 구현했고, 2점을 맞아야 할 솔루션이 1점을 맞았습니다. (3:23:50)
- 디버깅에 15분을 썼고(별 것 아닌 이유였는데 오래 걸렸습니다), 2점을 맞았습니다. (3:38:53)
3:38~4:20 - 302점>304점
- 섭테 4로 넘어갔고, 24분 정도 걸려 구현했습니다.
- 4점을 받아야 할 솔루션이 틀렸습니다. (4:02:28)
- 디버깅에 18분을 썼고(역시나 카운팅을 제대로 안 해서 틀렸던 것 같습니다), 4점을 받아야 할 솔루션이 2점을 받았습니다. (4:20:41)
4:20~4:29 - 304점
- 디버깅에 10분을 썼지만 고칠 수 없었습니다.
4:29~4:30 - 304점
- 정리했습니다.
후기
- 솔직히 312까지는 긁었어야 하는데(그리고 312점을 받은 사람이 적어도 5명으로 보이는데), 많이 아쉽습니다. 마지막 90분을 너무 못 쓴 것 같습니다.
- 패착의 요인이라면 디버깅에 너무 많은 시간을 썼다는 것 같습니다. 코드포스나 백준을 하면서 breakpoint형 디버깅에 너무 익숙해져 있었던 것 같습니다.
- 4번의 섭테를 얼마나 잘 긁는가가 금-은상, 은-동상의 커트를 모두 결정하게 될 것 같습니다. (2, 3번이 쉽긴 했지만 그래도 3번까지 풀었으면 4번을 안 긁었어도 은상을 받아갈 수 있었으면 하는데요.)
- 의외로 3번까지 딱히 알고리즘이나 자료구조가 필요 없었습니다. 저는 3번에서 작큰을 쓰긴 했지만 이것도 작큰 스킬 없이 우선순위 큐 하나로 해결 가능합니다. 2번도 애드혹이고 1번도 쉬웠습니다.
- 그래서 그런 건지, 나코더 40기에 에 300을 받지 못한 친구들이 많아서 슬픕니다. 계속 ps를 해왔던 친구들에 비해 그냥 머리 좋은 애들이 높은 점수를 받아간 것 같아 약간 안타깝습니다.
- 저만 보자면, 머리도 애매하고(즉 애구그를 애매하게 잘 풀고) 자구/알고도 애매하게 알아서(즉 센트나 cht를 현장에서 n분만에 구현할 자신이 없는 정도) 점수도 애매하게 304점만 나온 것 같네요.
- 이상으로 정올 라스트댄스를 마치게 되었습니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길 3년 ps 인생의 기점에 다다랐는데, 그런 것치고는 3번 섭테가 너무 많은 것을 결정 + 근데 나는 3번 섭테에서 말림 이슈로 아쉽습니다. 그냥너무아쉬워요322만받았어도좋은데응애;;;
- 앞으로도 ps러 인생을 살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방학 중에 코포 2200 정도를 복구하고 앳코더 옐로우를 찍고 싶고, NYPC 본선에서 노트북도 받고 싶습니다. 졸업 전에는 레드를 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